청년도약계좌는 청년세대들이 사회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중장기 자산 형성 지원 정책입니다. 

 

가입자가 41만명에 육박하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더 좋아진 혜택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입 은행별 금리비교도 있으니 나에게 맞는 은행은 어디이고 이율은 어디가 높은지 비교 평가 후 가입하세요.

 

 

 

고민하고 있거나 전에는 해당되지 않았던 청년들도 가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니 

반드시 좋아진 혜택 확인하시고 정부에서 지원하는 혜택들은 꼭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1. 주요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하기 위함임.

 

가입기간 : 만기 5년(60개월)

납입금액 :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가능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함.

 

 

※ 주의 - 정부기여금(공공재정지급금)이 지급되므로 거짓된 정보로 부정청구 할 경우 정부기여금이 [공공재정환수법]에 의해 환수되며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음.

 

2. 일시납입 안내

 

예를 들어... 22년 3월 가입한 청년희망적금이 만기 23년 3월이라면 4월 30일까지 일시납입을 신청해야 함.

 

 

만기금액이 약 1,300만원 정도이고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때는

40,50,60,70 만원중 일시납입할 금액얼마큼 일시납입할지에 대한 기간까지 설정하면 됨.

 

 

일시납입을 해도 만기가 앞당겨지지 않음.

일시납입한 기간만큼 납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고 만기는 5년 동일함.

 

 

 

3. 가입대상 조건

 

 

나이 :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은 연령 계산 시 뺌)

 

개인소득 : 총 급여액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6,300만원 이하인 경우

 

가구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되는 자

                 (22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구 250%는 153,632,400원입니다.)

 

금융소득종합세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4. 가입 시 혜택

정부기여금 지원 : 소득구간에 따라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3%-6% 정부 지원금 받게 됨.

비과세혜택 : 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비과세 혜택

우대금리 : 저소득층 청년 대상으로 우대금리

 

 

5. 가입 및 심사 절차

매월 신청 원하는 은행 앱에서 가입 가능

==> 신청 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심사 진행

===> 익월 초 계좌개설

 

 

 

 

 

가입 가능한 많은 은행들의 금리를 꼭 비교하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  각 은행 바로가기  ☞

 

 

 

 

6. 주요 질문 사항

 

 

 

반응형